만리장성의 특징
만리 장성은 증국의 성벽 유적으로서 1987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으로 선정 되었습니다. '장성'으로 줄여부르기도 하는 이 성벽은 중국의 역대 왕조들이 북방 유목민족의 침공을 막기 위해 지어졌다고 전해지지만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성벽은 대부분 15세기 이후 명나라때 쌓은 것입니다. 길이가 2700km에 이르며 서쪽은 간쑤성 자위관 부터 동쪽의 허베이성 산하이관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형의 다양한 높낮이를 고려하면 실제 성벽의 길이는 6,352km에 이르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중국의 상징이자 인류 최대의 토목공사라고 불려지며 2007년에는 세계 7대 불가사의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만리장성의 역사와 의미
춘추정국시대의 제, 초, 전국시대의 연,조,진 등이 유목민과 접경에 성벽을 쌓아 침공에 대비하였습니다. 하지만 동서로 길게 이어진 만리장성 성벽을 쌓기 시작한 때는 진나라 시황제 때 부터 입니다. 중국을 통일한 시황제는 흉노의 침공을 막기 위해 춘추전국시대에 각 나라가 만든 북방의 요새와 성벽을 연결시켜서 기원전 214년에 만리장성을 쌓았습니다. 당시 장성은 성벽으로 계속 이어진 것이 아니라 요충지에 요새와 초소 등을 만들어 만든 국경 방어선의 의미가 강했으며 성벽 또한 흙으로 다져서 쌓은 토벽이었고 높이도 2m 정도로 높지 않았다고 합니다.
시황제가 쌓은 장성은 한나라 때도 국경 방어를 위해 중요시되며 확장되었는데 오호십육국시대를 거치며 흉노, 선비 등 북방민족이 화북지방으로 진출하여 왕조를 세우면서 기능을 잃고 방치되었다가 탁발부 선비족이 세운 북위가 화북지방을 통일해남북조시대로 넘어가면서 북방 방어를 위해 다시 장성이 건축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까지 세계에서 건설된 수 많은 인공 건축물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만리장성은 험준한 산과 협곡은 사막까지 약 3000km가 보존 되어 있습니다. 달에서도 보이는 유일한 건축물이란 이야기가 유명하며 이를 건축하는데 걸린 시간과 인력은 현재까지 정확한 자료가 남아있지 않고 책도 저마다 내용이 다릅니다. 그 이유는 계속해서 고치고 덧붙이는 과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만리장성의 감상 포인트 바다링과 망루
오랜 세월 대제국의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 건축한 바다링과 주변지역은 가장 흥미로운 장소인데 이 곳은 단순한 장성이 아니라 종합적인 군사시설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변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능선을 따라 벽돌로 지어졌으며 접근이 어려운 곳은 3~4m 에 불과하지만 길목과 주요 요충지는 8m가 넘는 곳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자연을 최대한 이용하여 건축한 특징이며 특히 고비 사막이나 북방에 건설된 성벽은 폭이 1~2m에 불과하고 전투를 위한 시설도 미비합니다.
만리장성에는 망루, 봉화대, 성문이 많이 있지만 바다링 주변에는 특별히 규모가 큰 망루, 봉화대, 성문이 많이 있습니다. 그만큼 중요한 곳이며 바다링 지역에 지어진 방루는 대부분 사각형 모양을 띠고 있고 다른지역에 비해 규모도 큰 편입니다. 2중 3중으로 쌓은 성벽과 성벽위의 평탄한 길 역시 군사들을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군사적 목적이 큽니다.
바다링 주변 성벽이 유독 견고하고 거대한 규모로 건축된 것은 군사적인 중요성 때문이며 황제가 거주하는 북경으로 통하는 주요 길목이기 때문에 어떤 곳보다 튼튼하게 방어해야만 했기 떄문입니다. 또한 만리장성은 매우 큰 건축물이기 때문에 다 둘러보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바다링 망루에 올라 주변을 살펴보면 주요 요충지가 어떤 형대를 갖추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주요길목, 실제 성벽의 높이, 망루들의 차이점, 무기를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만든 건축기법까지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동서로 능선을 따라 길게 이어진 장성의 형태를 보기에도 아주 좋습니다.
만약 만리장성을 모두 둘러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장성의 대부분이 현대의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직접 걸어서 둘러보아야 하며 대략 2~3년 정도 걸릴 것으로 추측됩니다. 또한 만리장성이 인류 최대의 인공 건축물이라고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하는 과정중에 희생된 사람들을 생각해보면 훌륭한 문화유산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라노의 혼, 이탈리아 밀라노 대성당 (0) | 2021.09.06 |
---|---|
그리스 정교의 전통을 잇다, 메테오라 수도원 (0) | 2021.09.05 |
잃어버린 도시, 남미의 얼굴, 마추픽추 (0) | 2021.09.01 |
어른들의 판타지 월드, 미국 디즈니랜드 (0) | 2021.09.01 |
프랑스 고딕 건축의 최고 걸작, 노트르담 대성당 (0) | 2021.08.31 |
댓글